구민숙의 시들은 시의 전개도 날렵하고 말의 구사도 자못 신선하다. 특히 ‘자꾸 헛것처럼’ 같은 시는 흠잡을 데 없이 꽉 짜인 시로 읽히며, ‘귀가’ 같은 시도 기성 시인의 것이라면 충분히 우수한 시로 거론될 법하다. 하지만 투고돼온 다른 사람들의 시와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 크게 다르지가 않다. 문정인의 시 가운데서는 외국인 노동자를 다룬 것으로 보이는 ‘오카리나 부는 오빠’가 속도감도 있고 가장 재미있게 읽힌다. ‘옥탑방 여자’도 밝고 환하면서도 서글픈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작자의 만만찮은 솜씨를 보여준다. 다만 어디서 많이 본 것 같고 많이 들은 것 같은 이미지요 정서인 것이 흠이다. 이들 둘에 비해 최찬상의 시들은 덜 다듬어진 듯하면서도 개성적이다. 그러나 ‘쿵’이 발상이나 시법에 있어 아주 새로운 데 반하여, ‘자전거’나 ‘희망의 길’ 같은 시는 아직 치기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걱정을 떨쳐버리기 어렵게 만든다. 이기홍의 시도 개성적이라는 점이 먼저 호감을 갖게 한다. 특히 ‘근엄한 모자’는 속물화돼 가고 있는 주변에 대한 야유이면서 동시에 똑같이 속물화돼 가고 있는 자신에 대한 야유이기도 함으로써 감동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 사색과 고뇌의 궤적도 엿보일뿐더러 문명비평적인 시각까지 담보하고 있는 수작이다. 이에 비해서 ‘푸른 바람의 집’이나 ‘내 몸속을 구르는 돌’은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 미흡하다. 이상 네 사람의 작품을 놓고 논의한 끝에, 작품의 편차가 좀 불안하기는 했으나, 드물게 개성적이라는 점, 동세대 시인에게 결여돼 있는 사색적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해서, 어쩌면 모험일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심사자들은 이기홍의 ‘근엄한 모자’를 당선작으로 뽑는 데 합의했다. |